ㅇ |
채권의 상환 일정을 기간별, 채권 종류별로 집계하여 제공합니다. |
ㅇ |
상환 통계치를 이용하여 향후 채권의 수급 전망이 가능합니다. |
ㅇ |
통계 금액의 구성 종목을 상세히 조회 할 수 있습니다. |
조건 설정
▪ |
일자 조회가 가능하여 과거 시점에서의 통계테이블 구성이 가능합니다. |
▪ |
일별/주별/월별/년도별로 집계하며, 집계시 신종채권 포함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
조회일을 시작으로 일별/주별/월별/년별 기간 테이블이 구성됩니다. |
▪ |
단위를 억원과 십억원으로 선택 할 수 있으며, 구성비나 금액을 선택하여 산출 할 수 있습니다. |
▪ |
통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원화, 달러, 엔, 유로) |
▪ |
채권분류기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거래소 채권분류: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이후 적용되는 거래소 분류 체계를 적용하여 통계 집계가 가능합니다. → 금융회사채 분류 추가(시중은행채, 기타 금융채 및 증권금융채로 구성) |
데이터
▪ |
채권 상환일정을 기간별로 집계하여 제공합니다. |
▪ |
채권의 상환일을 기준으로 집계되므로 옵션 등으로 인한 조기 상환 정보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
▪ |
채권의 상환 일정 관리가 용이하며, 미래의 상환 정보를 통해 향후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합니다. |
▪ |
통계 데이터를 더블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의 구성 내역을 종목보기, 차트보기로 조회 할 수 있습니다. |
▪ |
해당 종목명을 클릭하면 종목별 유통정보, 발행정보, 시가평가 정보를 연결메뉴로 볼 수 있습니다. |
▪ |
차트 편집기능이 있어 사용자에 맞게 차트 환경 설정이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