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수익률이란 채권에 투자했을 때 일정기간에 발행된 투자수익을 투자원금으로 나누고 투자기간으로 환산한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연이율(%)로 표시함.

수익률은 관점에 따라 여러가지 개념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표면이율

 

채권의 권면에 기재된 이율로 1년간 발행자가 지급하는 이자를 액면으로 나눈 것으로 단리의 개념임

 

bond2_2_1

 

 

2) 발행수익률

 

발행수익률이란 채권의 발행시 취득가격과 만기까지 해당 채권에서 얻게 되는 최종 총수입간의 비율을 수익률 개념으로 표시한 것임

 

① 만기시 일시상환채권의 경우

 

만기시 일시상환채권의 경우 취득가격과 만기시 상환금액과의 비율을 연복리수익률의 개념으로 나타냄

 

bond2_2_2

 

 

예) 표면이율(발행할인율) 8%, 2년만기 할인채인 금융채의 발행수익률은?

* 발행가액 : 8,400원 [=10,000×(1-0.08×2)]

 

bond2_2_3

 

② 이표채의 경우

 

발행시 채권의 취득가격을 채권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의 합과 일치시키는 만기수익률을 발행수익률로 간주.

이때 채권의 발행가액이 액면금액과 일치하는 액면발행의 경우에는 이표채의 발행수익률이 표면이율과 동일.

그러나, 액면금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할인발행의 경우는 발행수익률이 표면이율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할증발행의 경우는 발행수익률이 표면이율보다 낮음

 

 

3) 인수수익률

 

인수수익률이란 채권의 발행자로부터 채권의 인수업무 가능기관이 채권을 취득한 가격에서 인수수수료 수입을 제외한 인수가액과 만기까지 해당 채권에서 얻게 되는 최종 총수입간의 비율을 수익률의 개념으로 표시한 것임

 

① 만기시 일시상환채권의 경우

 

bond2_2_4

 

예) 표면이율(발행할인율) 8%, 2년만기 할인채인 금융채의 인수수수료율이 0.2%인 경우 인수수익률은?

* 발행가액 : 8,400원 [=10,000×(1-0.08×2)]

* 인수수수료 : 16.8원 [=발행가액×인수수수료율 = 8,400×0.002]

* 인수가액 : 8,383.2원 [=발행가액-인수수수료 = 8,400-16.8]

 

bond2_2_5

 

② 이표채의 경우

 

채권의 발행가격에서 인수수수료를 공제한 인수가격과 채권의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를 일치시키는 만기수익률을 인수수익률로 간주

 

 

4) 직접수익률 (단순수익률, 경상수익률)

 

채권 투자원금에 대한 연간 표면이자 수입의 비율을 말함

 

bond2_2_6

 

 

5) 유통수익률 (만기수익률, 내부수익률, 시장수익률)

 

통상 채권시장에서 대표되는 수익률로서 일단 발행된 채권이 유통시장에서 계속 매매되면서 시장여건에 따라 형성되는 수익률임.

이는 어떠한 자본이득이나 자본손실은 물론 이자의 재투자 수익까지도 감안하여 산출되는 채권의 예상수익률인 만기수익률 개념임  

 

 

6) 연평균수익률

 

연평균수익률이란 전체 투자기간동안 발생된 총수입인 채권의 최종가치를 투자원본인 채권의 현재가격으로 나눈 후 이를 투자연수로 나눈 단리수익률을 의미함.

연평균수익률은 단순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개념이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연단위기간 이상의 투자시에는 연단위 복리개념에 근거한 투자수익률에 비해 투자수익성을 과대계상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

 

bond2_2_7

 

예) 2년만기 산금채(할인채)를 7,744원에 매입하여 만기상환시 연평균수익률은 ?

 

* 연평균수익률 : 14.57% [0.1457  = 1/2*(10,000/7,744-1)]

 

7) 실효수익률

 

실효수익률이란 전체 투자기간동안 모든 투자수익요인들에 의해 발생된 최종 총수입의 투자원본대비 수익성을 일정기간단위 복리방식으로 측정한 투자수익률이다. 일반적으로 채권투자에서 발생된 최종 총수입에 의한 채권의 최종가치에 대한 수익성은 연단위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bond2_2_8

 

8) 세전수익률과 세후수익률

 

세전수익률이란 채권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세금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권에서 발생하는 최종수입과 투자원금간의 비율을 수익률로 표시한것인데 반해, 세후수익률이란 채권에서 발생하는 소득에서 세율에 따른 세금을 공제한 최후 총수입과 투자원금간의 비율을 수익률로 표시한 것이다.